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지역실정 잘 아는 관할 행정기관에 이관하고 낙동강 하구언 쓰레기 대책 세워라!

장경환 / 기사승인 : 2019-11-12 23:43:51
  • -
  • +
  • 인쇄
-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운영관리 시대적 상황과 특성에 맞게 제대로 대응해야
- 낙동강하구 쓰레기 발생량 저감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중앙정부 행·재정적
지원 건의요구
- 부산시 차원의 낙동강 발생 쓰레기 조사와 처리 대책 수립 촉구!
<해양교통위원회 김정량 의원, 282회 정례회 5분발언>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김정량 의원(사하구4)은 12일 열린 제282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서부산권의 지역균형발전과 을숙도 생태공원을 지역의 특화된 생태탐방의 메카로 부흥시킬 수 있도록 낙동강에코센터를 서부산권의 지역특성을 제대로 알고 전문적으로 맡길 수 있도록 사하구청 직속으로 이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현재 기존 낙동강하구에코센터의 운영관리가 시대적인 상황과 특성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은 오히려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진 을숙도 생태지역을 낙후시키고 파괴시키는 행위임을 부산시는 명심하여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한, 그동안 낙동강 생태지역은 관행적인 부산시의 비전문적인 운영조직과 생태적인 관리 부재로 인해 부실 운영을 해왔다면서, 이제부터는 어공(어쩌다 공무원)과 늘공(언제나 공무원)의 이원적인 방식으로 이익 집단만의 갈등을 만들어서는 더 이상 부산의 미래와 서부산 균형발전은 없다는 것을 지금이라도 깨우쳐야 한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또한 낙동강의 최하류 지역인 부산은 여름철 태풍과 장미가 올 때 낙동강 하구는 상류에서 떠내려 온 온갖 쓰레기로 인해 심각한 수질오염은 물론이고 해양쓰레기 발생량 증가로 지속적으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류측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예산지원과 제도적 장치는 미흡한 실정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김 의원은 낙동강은 행정구역상 여러 지자체가 관리를 하고 있는 방식으로 낙동강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상류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쓰레기 원인자 부담의 원칙’을 적용하여 정부가 적극 해결할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낙동강 하구언 수문개방뿐만 아니라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 상류 곳곳의 수문이 개방되면 더 많은 쓰레기가 낙동강 하류인 부산지역에 떠내려와 강과 바다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환경재앙을 맞이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지금부터라도 중앙정부와 해당 지자체에 강력하게 건의하고 행정적 재정적 지원 요청과 부산시 차원의 낙동강 발생 쓰레기 조사와 처리 종합대책을 적극 수립해야 한다고 재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