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하지만 2020년부터 민간단체 하나원 출입은 통일부 용역으로만 이루어지고 있고, 해당 인권조사 결과는 통일부에 제출된 이후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 문재인 정부가 민간영역에서의 ⌜북한인권백서⌟ 출간을 막고, 나아가서 북한인권 실상을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차단했을 가능성도 있다. 통일부는 현재도 ⌜북한인권실태 조사보고서⌟를 비밀자료로 비공개 처리하고 있어 최근 김정은 정권에서 자행되는 북한인권 침해 실상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과거 독일통일을 이루는데 인권은 가장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대부분은 서독 주민들이 많이 읽었던 ⌜동독 주민들의 일기⌟(Mitteldeutshce Tagebuch)를 통해서 알려졌다. 또한 인권침해 행위를 기록한 ⌜중앙기록보존소⌟ 존재 자체는 통일에 대한 희망을 가지기에 충분히 작용했다.
태영호의원은 “북한 인권 문제는 정권의 성향에 상관없이 진행되어야 하는 사업으로 과거에도 국제사회 및 민간단체 전문성을 인정하여 협력을 강조해 왔었다.”며 “통일부가 민간 전문가들의 하나원 출입을 허용하여 북한인권 실상을 외부에 알리고 과거에 했던 그대로 ⌜북한인권백서⌟를 통해 인권 실상을 공개하고,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북한인권에 대한 조사를 민간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해야 정부가 정치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객관적으로 접근가능할 뿐아니라 전문성 영역에서 있어서도 더 좋은 효과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