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열성 경련, 너무 당황하지 마세요

심동윤 기자 / 기사승인 : 2018-04-02 14:22:15
  • -
  • +
  • 인쇄
인천송도소방서 119구급대 소방장 배영미

 

아무리 강심장을 가진 부모라도 우리 아이가 갑자기 눈을 뒤집고, 입에서 거품을 내며, 손발을 덜덜 떨고, 애타게 불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무척 당황하게 마련입니다. 119가 생각이 나 신고했어도 대화가 안 될 정도로 놀라고 마음의 진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경우 대개는 열성경련으로 벌어지는 사태인데 미리 약간의 상식을 알고 있으면 아이가 경기할 때 부모가 흘릴 눈물을 아낄 수 있습니다.

 

열성경련이란 뇌에 다른 이상이 없으면서 열이 심한 것 때문에 경련을 일으키는 것인데 대개는 체온이 갑자기 올라갈 때 주로 나타납니다. 어린 아이들에게서 잘 발생하는데 6개월에서 만 5세까지 많이 발생하고 5세 이후에는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열성 경련을 하는 아이들의 부모도 어릴 때 열성 경련을 경험 한 경우가 흔합니다.

 

경기를 할 당시는 머리를 옆으로 위치하여 침이나 토한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게 하여 주시고, 안전한 바닥에 눕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경련을 하는 동안 다른 주위의 물건에 부딪혀서 다칠 수가 있기 때문에 위험한 물건을 치워주는 것이 좋고 의식이 없는 아이는 기도 흡인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해열제는 먹이지 않는 게 좋습니다.

 

대부분의 열성 경련은 별다른 조치 없이 몇 분 만에 끝나기 때문에 그리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열성 경련이라도 10분 이상 지속되면 뇌손상을 주고 하루에 2번 이상 반복되면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 열성경련일 경우 경련 후 차츰 의식이 돌아오고 대부분 졸린 증상을 보이는데 금세 상태가 양호 해지고 신경학적 후유증이 없으니 아이가 편히 쉴 수 있도록 조용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 입니다. 아침과 한낮의 기온차가 커지면서 아직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감기 바이러스에도 쉽게 노출되어 감기 및 독감(인플루엔자)에 걸리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로인해 열성 경련도 함께 동반되므로 부모님께서는 무엇보다 아이의 환절기 건강관리에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인천=세계타임즈 심동윤 기자]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심동윤 기자 심동윤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