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계타임즈 |
[대전=세계타임즈 이장성 기자] 대전시립박물관(관장 류용환)은 박팽년 탄신 600주년을 기념해 ‘박팽년, 꿈속에서 도원(桃原)을 거닐다’ 특별전을 9월 29일부터 12월 17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박팽년에 대해 조선 초 집현전 학자로서의 성취와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비극적 죽음에 이른 박팽년의 삶을 대조하고, 신원(伸冤) 복원을 위해 애쓴 후손 및 사림(士林)의 사상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박팽년 선생은 집현전 학자로 경술과 문장 ‧ 필법이 모두 뛰어나 집대성(集大成)이라 불렸으며, 세종대왕과 함께 사서(史書) 편찬, 한글 창제 등 신국가의 기틀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선생은 계유정난과 세조의 왕위 찬탈 이후 단종복위를 모의하는 등 단종에 대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굽히지 않아 장렬히 죽음을 맞이했다.
박팽년을 비롯한 사육신은 멸문(滅門)의 화를 당하여 관련 자료가 일실(逸失)되었었으나, 금번 전시를 준비하며 전국에 흩어진 다수의 소중한 문화재를 모아 100여점의 유물을 전시한다.
꼭 570년 전, 1447년 4월 20일 안평대군과 박팽년이 꿈속에서 도원을 거닐던 모습을 그려낸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복제본)’를 비롯해 ‘장릉사보(莊陵史補)’, ‘단종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端宗定順王后復位祔廟都監儀軌)’ 등 조선시대 왕실 주요 유물도 전시된다.
특히 대전에서 처음 공개되는 박팽년 선생 친필 옥판(玉版)은 박팽년 선생이 집대성으로 불렸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유물로 평가된다.
개막식은 9월 29일 오후 4시이며, 전시개막을 기념해 당일 오후 2시에는 ‘박팽년의 선비적 삶과 절의정신’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도 개최된다.
한편, 사육신(死六臣) 박팽년(朴彭年, 1417~1456)은 대전의 대표적 충절의 인물로서, 그의 증조 박원상(朴元象)의 묘(동구 대별동)를 비롯해 박팽년 유허[터]와 비각(동구 가양동)이 남아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