❷ 조사료 품질관리 모니터링과 기술지원으로 조사료 이용활성화 유도 [강원도 세계타임즈=김민석 기자]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 농정국 축산기술연구소는 도내에서 생산되는 사료작물의 등급 판정을 위한 조사료 품질검사가 최근 마무리되었다고 밝혔다.
조사료 품질검사는 고품질 조사료 생산 및 이용 체계 확립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로, 조사료의 품질 향상과 품질 관리를 통해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하고 축산 농가에 공급함으로써 조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도내 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이다.
축산기술연구소는 2015년부터 실시하여 올해까지 3,139점(동계 2,239점, 하계 900점)을 검사하였으며, 검사항목으로는 수분과 조단백을 측정 하고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근적외선분광법(NIRS)*을 이용하여 4단계**로 품질등급을 판정한다.
* 근적외선분광법: 근적외선(Near Infrared; Near IR; NIR) 영역의 빛을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의 정량분석을 주 응용으로 하는 분석
** 품질등급 판정기준: (동계) 수분, 조단백 측정, 4단계 등급판정(건초ㆍAㆍBㆍ등외)
(하계) 수분 측정, 4단계 등급판정(AㆍBㆍCㆍ기타)
석성균 도 농정국장은““도내에서 생산되는 조사료의 품질 관리를 통해 등급을 향상시키고, 축산 농가가 양질의 사료를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조사료 품질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며, “조사료 자급률 향상을 통해 도내 축산 농가의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