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5주년! 일제 잔재 ‘용두산 공원’을 독립운동가 정신을 이어받은‘백산기념공원’으로

장경환 기자 / 기사승인 : 2020-10-24 08:49:27
  • -
  • +
  • 인쇄
문창무 의원, 지하에 갇힌 백산 흉상을 이전하고, 용두산공원 이름 자체를 바꾸는 것이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것이다!

◈ 출처가 불투명한 일제 잔재 ‘용두산공원’의 명칭을 바꿔라.
◈ 지하에 갇혀 있는 백산의 흉상을 이전하라.
◈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상 수집하여 기념관을 설치하고 지역의 랜드마크로!
◈ 역사의 중요성과 올바른 역사관을 후손들에게 심어줄 수 있도록!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문창무 의원(더불어민주당, 중구)은 23일 제291회 임시회 4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역사를 바로 잡고 후손들에게 민족의 얼을 제대로 알리기 위해 먼저 일제의 잔재가 남아 있는 용두산공원의 이름 자체를 바꾸자고 주장했다.

 

문 의원에 따르면 ‘용두산’이라는 명칭은 일본인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과거 이 공원에 콘삐라 신사와 벤사이텐 신사도 있어서 일본인들의 성역으로 용두산 공원이 조성되었다.

 

특히 문 의원은 용두산 공원이 중구에 위치했지만, 역사성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이곳을 터전으로 독립운동을 하였던 백산 안희제 선생을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백산 안희제 선생은 백범 김구, 백야 김좌진과 함께 삼백으로 불리고 부산 중구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문 의원은 백산 기념관이 지난 1995년 광복 50주년 기념사업으로 건립되었으나 동광동 중심거리에서 보면 지하 2층에 전시실이 있어서 고문의 휴유증으로 돌아가신 백산의 흉상마저도 지하에 갇혀 있는 것이랑 다를 바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문 의원은 “부산지역 9개 시민단체에서 지난 8월 23일 용두산 공원을 백산 기념공원으로 바꾸자는 청원서를 낸 것을 계기로 용두산 공원 이름을 바꾸는 것 자체가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것이고, 백산 선생의 업적을 제대로 챙겨 부산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정신을 이어가야 한다”라며 “부산과 중구의 랜드마크인 용두산 공원에 대한 명칭 문제를 해결하여 지역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역사가 없는 국가나 지역은 생명이 단절된 곳이나 다를 바 없음을 인지해서 역사의 중요성과 올바른 역사관을 후손들에게 심어줄 수 있도록 부산시가 가장 먼저 앞장 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장경환 기자 장경환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