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있는 공무원 적재적소 배치 재난대응에 적극 나서야”
해양교통위원회 이영찬 의원, 제291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이영찬 의원(비례대표)은 23일 제291회 임시회 4차 본회의‘5분 자유발언’을 통해서 초량지하차도 침수의 근본적인 원인을 명확히 밝힌 뒤 안전조치 및 행정혁신에 나설 것을 부산시에 촉구했다.
2019년 10월, 부산시가 국제안전도시 재공인을 받은지 채 1년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초량지하차도 참사가 발생, 3명의 시민이 아까운 목숨을 잃은 바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침수 원인으로는 배수펌프 용량, 노후시설물 등 재난대비시설 관리 부실로 지목되고 있지만, 초량지하차도나 부산역 앞 중앙대로가 설치된지 벌써 50년이 지났으나, 중앙도로마저 침수된 적은 없다.
그런 점에서, 초량지하차도의 배수시설물과 차량진입 차단시설 등 일부 시설에만 국한해서 대책을 마련할 것이 아니라 북항재개발과 충장로지하차도 건설공사까지 고려해서 배수처리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최종방류 배수처리 지점, 북항매립지 앞 충장로지하차도 건설에 따른 우수처리관로의 형상에 변화가 없는지도 확인되어야 할 사항이다.
최종방류 배수지점인 부산항 앞바다는 북항재개발사업으로 대규모 해양이 매립되었고, 인공수로 등을 통해 배수길이가 길어지고 빗물 배수로의 경사도가 달라져 즉각적인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종배수지점이 차단되거나 배수용량이 축소될 경우 초량지하차도의 펌프시설 등을 재정비하더라도 침수현상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초량지하차도의 발생원인부터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현재 이를 담당하는 16개 구·군청 안전총괄과의 부서장 및 본청 안전담당 부서의 간부들은 시설물 관리 및 안전공학과 무관한 순수 행정직 4·5급 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이 의원은 “즉각적인 안전조치를 위해 기술공학에 전문성 있는 공무원을 안전총괄과의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향후 재난대응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