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형 도시근로자, 소상공인과 지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잡다

이현진 / 기사승인 : 2025-06-24 07:20:28
  • -
  • +
  • 인쇄
– 현장의 목소리 #경영안정 #동반성장 #지역경제 선순환 형성 - [충북 세계타임즈=이현진 기자]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이 6월 16일 현재 기준으로 계약연인원 26만명*에 육박하는 실적을 달성하면서 도내 기업ㆍ소상공인과 근로자 모두에게 꼭 필요한 제도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 총실적 : 766개소, 2,340명/ 연인원 259,920명 참여(기업 56,996명, 소상공인 202,924명)

구인난, 경영난을 겪는 기업ㆍ소상공인과 근로시간에 제약이 있는 유휴인력을 매칭하여 4 ~ 6시간 시간제 일자리를 지원해주는 이 사업은 특히 지난해 9월, 당초 기업에서 소상공인 분야까지 업종을 확대하면서 지역 소상공인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불과 4개월만에 연5만8천명을 지원한 데 이어 올해는 6월 중순에 이미 전년 실적의 3.5배인 계약연인원 20만명을 돌파하여 사업 인지도의 빠른 상승을 보여주며, 이는 도와 시군, 수행기관에서 개별 사업장 단위로 우편 송부 및 방문을 실시하는 등 일대일 맞춤형 집중 홍보를 추진한 결과로 풀이된다.
 

※ 소상공인 실적 : (‘24년) 457개소, 1,407명/ 연인원 58,403명 (‘25.6.16.) 580개소, 1,905명/ 연인원 202,924명

높은 도민 수요를 입증한 이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의 인력난 해소와 고정경비 절감에 기여하고 있는 가운데, 도민의 삶에 질적인 변화 또한 이끌어내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 지역의 전통을 이어가는 소상공인 경영 안정 

 

○ 청주시에서 백년가게로 선정된 점포를 운영하는 A 씨는 전통을 이어갈 인력을 구하지 못해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던 와중에, 도시근로자 사업을 통해 인건비 지원을 받아 직원을 채용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영업을 지속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다.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백년가게, 영세자영업자 등 지역 내에서 꾸준히 영업하며 전통을 이어가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소상공인들에 대한 인건비 지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경영을 지속할 수 있는 버팀목으로 기능하고 있다.

□ 사업주는 경영 구상 - 근로자는 경력 축적 “동반성장 일석이조”  

 

○ 옥천군에서 디저트 카페를 운영하는 B 씨는 혼자 매장을 꾸려나가면서 밤낮없이 바쁘게 운영에 매달려야 했으나, 본 사업으로 인건비 지원을 받아 도시근로자를 채용하면서 신메뉴 개발과 영업전략 구상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도 확보할 수 있었다.

○ 또한 이곳에서 도시근로자로 참여 중인 C 씨는 제과제빵을 공부하며 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으로, 하루 중 일부는 카페에서 일하면서 제과기술을 연마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창업 준비를 병행하는 일정을 확보하였다.


또한 사업주는 사업 참여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경영 부담을 완화할 수 있으며, 근로자는 여건에 맞는 탄력근무로 당장의 생계 해결을 넘어 미래를 계획할 시간을 확보하고 있다.

□ 건전한 고용문화 확산 

 

○ 증평군에서 음식점을 운영 중인 D 씨는 그동안 4대 사회보험 가입에 대한 부담으로 근로자 고용을 꺼려왔다. 그러나 근로계약서 작성과 4대 사회보험 가입을 전제로 한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에 참여하면서, 법적 기준에 맞춰 근로자를 채용하게 되었다.


충북형 도시근로자는 고용문화 개선에도 보탬이 되고 있다. 노동권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영세사업장의 제도권 진입으로 근로자는 노동권을 보장받고 사업주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의 경영문화를 정착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 외국인 정착 유도로 지역소멸 대응 

 

○ 단양군에 거주 중인 E 씨는 인구소멸 문제 해결을 위한 F-2-R(지역특화형 비자) 제도를 통해 한 편의점에서 근무하고 있다. 본 사업을 통해 동반 입국한 가족과의 안정된 생활 기반 마련에 도움을 받고 있으며 지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 앞으로도 도시근로자 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또한, 전일 근무를 요하는 일자리에 비해 비교적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근로자 일자리는 지역소멸 위험지역에 정착하고자 하는 외국인에게도 매력적인 선택지로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와 같은 질적인 변화가 지역사회와 가계에 여유와 활력을 불어넣고, 나아가 소비를 촉진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경제적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다는 점이다.

김두환 도 경제통상국장은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단순한 일자리 사업을 넘어 자영업 생태계에 숨통을 틔우고 있다”면서 “도민 삶에 밀착된 수범사례들을 바탕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도시근로자 사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6시간 이내 단시간 근로를 희망하는 도민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며, 기업과 소상공인은 참여자와 근로계약 체결 후 근로 임금을 지급하고, 지자체에서는 1일 최대 4시간까지 최저시급(10,030원)의 40%에 해당하는 인건비와 교통비, 근속 인센티브 등을 별도로 지원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