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선거비용제한액은 선거운동의 과열과 금권선거를 방지하고 후보자 간 경제력 차이에 따른 선거운동의 불공평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선거별로 물가 상승률과 인구수 또는 읍·면·동수를 반영하여 산정한다.
시·도지사선거의 경우 경기도지사선거의 선거비용제한액이 44억1천9백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특별시장선거가 34억3천1백만원으로 그 다음을 이었다. 가장 적은 곳은 세종특별자치시장선거로 3억2천8백만원이었다.
시·도지사선거의 선거비용제한액 평균은 14억3천3백만원으로 지난 제7회 지방선거의 14억1천8백만원 보다 1천5백만원 증가하였다.
이는 선거비용제한액 산정 시 반영하는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이 제7회 지방선거 때의 3.7%에서 5.1%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교육감선거는 선거비용제한액 산정기준 및 금액이 시·도지사선거와 동일하다.
기초단체장선거의 선거비용제한액 평균은 1억5천8백만원이었다. 가장 많은 곳은 수원시장선거 3억9천2백만원, 가장 적은 곳은 울릉군수선거 1억원이었다.
지방의회의원선거의 경우 지역구광역의원선거가 평균 4천9백만원, 지역구기초의원선거 4천2백만원이었다. 비례대표광역의원선거는 평균 2억 2백만 원, 비례대표기초의원선거는 평균 4천 9백만 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2022. 1. 1.자로 선거구구역표 및 선거구별의원정수의 효력이 상실된 일부 선거구는 선거구획정으로 선거구역이 변경될 경우 관할선거구위원회가 변경된 선거비용제한액을 다시 공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