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의원,괴롭히고... 따돌리고... 직원 소신도 금기!

심귀영 기자 / 기사승인 : 2020-10-11 12:06:37
  • -
  • +
  • 인쇄
외교부 산하기관「한·아프리카재단」,‘취업 후 조기퇴직’만연
‘18년 설립 후 직장 내 갑질 등의 사유로 퇴직한 직원 50% 달해!
김기현,“청년 커리어 무덤된 재단... 외교부는 불합리한 근로환경 개선에 적극 나서야”

[세계타임즈 심귀영 기자]외교부 산하기관인 「한·아프리카재단」이 ‘직장 내 괴롭힘’ 등의 사유로 설립된 지 2년 2개월 만에 직원의 절반 이상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울산 남구을)이 「한·아프리카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6월 설립 당시 채용된 17명의 직원 포함 2년 2개월간 재직한 직원 36명 중 18명(50%)이 퇴직했고, 특히, 지난해에는 재직자 17명 중 무려 13명이 퇴직(76.5%)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직자 18명의 평균 근속기간은 8.2개월에 불과했으며, 보름 만에 퇴직한 직원도 있는 등 ‘취업 후 조기퇴직’이 만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재단 직원 연도별 퇴직 현황
              

연도

재직자수

퇴직자수

퇴직율

2018

17

3

17.6%

2019

17

13

76.5%

2020.8월 현재

18

2

11.1%


              ※ 자료: 한·아프리카재단.
이같은 높은 퇴직율의 직접적인 사유로는 재단의 ‘직장 내 괴롭힘’이 꼽힌다. 취업준비생, 재직자, 퇴직자 등이 기업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사이트 ‘잡플래닛’에 따르면, △업무 떠넘기기, △직장 내 상사의 폭언 및 갑질, △연봉삭감, △근로기준법 준수 미흡, △처우 부족 등의 사유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저녁 6시 30분쯤 퇴근하면 비주류 직원이 된다’, △‘한두 명 빼고 모두 열심히 일하는데도 계속해서 압박한다’, △‘자신에게 부여된 권력을 마구 휘두르고 폭언을 일삼는다’, △‘자기의 생각과 소신을 밝히는 것은 금기시 된다’,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하는 직원이 다시 다른 직원을 괴롭히고 따돌리기도 한다’, △‘띄어쓰기 하나, 단어 선택 하나 가지고 소리를 지르고 폭언을 한다’라는 등의 내용을 비롯해, ‘아프리카 같고, 아프리카스럽지만 아프리카를 위한 기관은 아닌 정체성 없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 △‘무능력자들끼리 모여서 누가 더 잘났네, 못났네 하며 기쓰고 무시하는 실패한 조직’이라는 등의 원색적인 비난 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현행 「근로기준법」 제76조의2에서는 ‘사용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재단 핵심관계자는 “신생기관으로서 인력과 사업 정체성이 형성되어가는 과도기적 과정에 기인하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김기현 의원은 “외교부가 산하기관에 대한 관리 소홀로 청년 구직자들을 두 번 울리는 꼴”이라며, “외교부 차원의 면밀한 조직진단을 통해 재단의 불합리한 근로환경이 조기에 개선될 수 있도록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