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제1회 빅(BIG) 바이오헬스 포럼」 개최

이용우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1 10:03:56
  • -
  • +
  • 인쇄
◈ 11.21. 13:30 롯데호텔 부산 펄룸에서 열려… 지역 주요 병원장, 유관기관장, 관련 전문가 및 기업 관계자 등 80여 명 참석
◈ 바이오경제 시대를 여는 '글로벌 바이오헬스 허브도시 부산'을 주제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주제발표 및 패널토론 진행
◈ 산·학·연·병 지속적 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포럼 운영협의체 구성 및 발대식 개최
[세계타임즈=부산 이용우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늘(21일) 오후 1시 30분 롯데호텔 부산 펄룸에서 「2024년 제1회 BIG 바이오헬스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4년 제1회 BIG(Busan is Good) 바이오헬스 포럼 개요>
▪ (일시/장소) 2024. 11. 21.(목) 13:30~15:30 / 롯데호텔 부산 3층 펄룸
▪ (주 제) 바이오경제 시대를 여는 ‘글로벌 바이오헬스 허브 도시 부산’
▪ (주최/주관) 부산시 / (재)부산테크노파크, 서울의대 지역의료혁신센터
▪ (참 석 자) 바이오헬스 산·학·연·병 관계자 등 약 80여 명
▪ (주요내용) 포럼 발대식, 기조연설, 전문가 주제발표 및 종합토론 등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바이오경제 시대를 여는 글로벌 바이오헬스 허브도시 부산'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시가 주최하고 (재)부산테크노파크(원장 김형균)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의료혁신센터(센터장 강대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 시 바이오헬스 정책고문)가 주관한다.
 

지역 주요 병원장, 유관기관장, 관련 전문가와 기업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포럼 1부는 ▲강대희 부산시 바이오헬스 정책고문의 '지역의료혁신 및 부산 바이오헬스의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과 ▲포럼 운영협의체 발대식으로 구성된다.
 

시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중장기 육성방안을 논의하고 지속적인 기관별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과 강대희 바이오헬스 정책고문을 공동 위원장으로 하고 지역 주요 병원,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바이오헬스 포럼 운영협의체’를 구성했다.
 

협의체 운영위원으로 ▲박동석 시 첨단산업국장 ▲정성운 부산대학교병원장 ▲안희배 동아대학교병원장 ▲최종순 고신대학교복음병원장 ▲이연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장 ▲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원장 ▲신현석 부산연구원장 ▲김영부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장 ▲송복철 부산경제진흥원장이 참여했다.
 

운영협의체는 대외협력 및 자문 기능을 수행하고, 추후 각 분야 전문가로 실무위원회를 구성해 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실천과제 및 추진전략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2부 행사에서는 ▲정형구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의 '스마트 헬스케어 클러스터 특화방안' ▲신수호 부산테크노파크 라이프케어기술단장의 '부산 헬스케어 산업 현황 및 산업 성장 활성화 방안' ▲배수현 부산연구원 미래전략기획실장의 '지역기업 유치전략 및 지원방안'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패널토론에서는 좌장인 강대희 정책고문을 중심으로 ▲이홍제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연구센터장 ▲신재국 ㈜에스피메드 대표(인제대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교수) ▲강태흥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IDC’ 신약개발본부장 ▲배수현 부산연구원 미래전략기획실장 ▲정형구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이 토론자로 참여해 ‘부산 바이오헬스 미래를 위한 전략’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시는 이번 포럼으로 부산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을 진단하고 산·학·연·병 혁신 역량을 결집해, 내년 상반기 중 「제2회 BIG 바이오헬스 포럼」을 개최하고 지속적인 교류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육성이 고령화와 지역인구 유출 등 부산이 직면한 현실에 대응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것”이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산·학·연·병 주체별 의견을 수렴해 부산이 '글로벌 바이오헬스 허브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