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지역사회 공공성에 대한 책임을 깨닫고 지역 언론 배제 철회해야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시의회 박인영 의장은 5일, 네이버의 지역언론 배제를 비판하고 철회를 요청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난 4월 네이버는 모바일 앱 콘텐츠 제휴언론사 중 지역언론을 모두 배제하였으며, 지역관련 뉴스를 찾아보기 어렵게 개편하였다.
이와 같은 지역언론 차별과 배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영역에서 뿌리내린 지방에 대한 중앙집권적 사고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고 부산시의회 역시 더 이상 방관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결정했다.
박 의장은 “지역 언론사 및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시민들에게 네이버의 지역 언론 차별배제가 갖는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나가는 동시에 타 시·도의회, 구·군 의회와의 협력 등을 통해 지역-중앙 상생 미디어 환경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에 주도적으로 나서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성명서
네이버의 지역언론 배제에 단호히 반대한다
부산광역시의회 의장 박 인 영
지난 4월 네이버의 모바일 개편으로 지역 언론이 생산한 뉴스 콘텐츠가 모두 사라졌다. 민간기업의 수익극대화 전략이라고 하나 네이버의 지역 언론 배제는 디지털 공론장을 왜곡시켜 여론의 다양성과 지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나아가 지방분권과 지방자치라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일이라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 국민의 절반은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살고 있다. 네이버가 거둬들이는 수익의 절반이 지역민의 주머니에서 나가고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지역민들은 제대로 된 지역 뉴스, 동네 소식을 접할 수 없다. 지역민들은 대형사건·사고가 발생할 때에만 겨우 지역 언론의 뉴스를 접할 수 있다. 이는 명백한 차별이다.
현재 대부분의 뉴스 유통과 소비가 대형 포털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 포털의 지역 언론에 대한 차별과 배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영역에서 뿌리내린 지방에 대한 중앙집권적 사고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을 중앙으로 빨아들이는 ‘수도권 블랙홀’ 현상은 여론 시장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점은 네이버의 지역 언론 배제가 디지털 공론장(public sphere)을 왜곡시켜 여론의 다양성과 지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나아가 지방분권과 지방자치라는 풀뿌리 민주주의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언론사는 아니지만 국내 어떤 언론사보다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실체적 현실이다.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With great power comes great responsibility).
네이버는 지역저널리즘 죽이기를 멈춰야 한다. 지역사회 공공성에 대한 책임을 깨닫고 지역 언론 배제를 즉각 철회해야 한다. 정보격차와 편식을 해소하고, 지역민에게 필요하고, 지역민들이 원하는 뉴스를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문제의 심각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지역 언론사 및 시민단체도 더 이상 방관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부산시의회는 그들과 뜻을 함께하며 시민들에게 네이버의 지역 언론 차별·배제가 갖는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나가는 동시에, 타 시도의회, 구·군 의회와의 협력 등을 통해 지역-중앙 상생 미디어 환경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에 주도적으로 나설 것이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