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이전인 2019년 피해장애인 거주지 발생 비율 32.8%보다 9.7%p 증가
- 장애인학대 주행위자는 가족 및 친인척, 204건으로 전체의 39.4% 차지
- 김원이 의원 “코로나19로 인한 장애인 학대 양상 변화 살펴, 선제적 대응해야”
[세계타임즈 이영진 기자]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 시설이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가정 내, 가족 및 친인척에 의한 장애인학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회, 목포시)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장애인학대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학대의심 사례로 신고접수된 뒤, 관계기관 조사를 거쳐 학대로 확인된 장애인학대 사례는 올해 상반기 기준 518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피해장애인의 거주지에서 발생한 학대는 220건으로 전체 건수의 42.5%를 기록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32.8%보다 9.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피해장애인 거주지 학대가 늘어나게 된 것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기관이 문을 닫은 것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적극 나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장애인 복지기관, 학교, 치료센터 등이 운영 중단이 장애인 학대사건 증가와 어떤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