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최전선 부산의료원 지원대책 마련 시급

장경환 / 기사승인 : 2020-05-07 02:03:47
  • -
  • +
  • 인쇄
◈ 부산대표 공공병원인 부산의료원, 코로나19 대응으로 수익구조 악화 심각해져
◈ 부산시가 부산의료원의 재정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긴급대책을 마련해야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김재영)는 내일(7일) 열리는 복지건강국 소관 안건 심사 회의에서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는 부산 대표 공공병원인 부산의료원의 의료진 인건비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시의 대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복지환경위원회 박민성 의원(더불어민주당, 동래구1)은 “부산시의 코로나19 감염병 전담병원인 부산의료원은 코로나19 감염 환자가 급증하기 시작한 지난 2월 21일부터 코로나19 외 일반 의료서비스 업무 대부분을 중단해 매달 적자폭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3월은 1월보다 수익이 51억원이 감소했고 4월 50억 내외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고 밝히며  

 

“부산시가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매우 위태로운 재정상황에 놓여있는 부산의료원이 문을 닫아야 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주장할 계획이다. 

 

<표> 부산의료원 수익현황  (단위 : 억원) 

구분

의료수익

의료외 수익

입원수익

외래수익

기타의료수익

의료부대

(장례식장)

임대수입

20201

63

39

14

5

4

1

20203

12

7

4

1

0

0

증감분

-51

-32

-10

-4

-4

-1


 부산시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은 부산뿐만 아니라 전국 공통사항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 보건복지부장관, 이하 중수본)는 2월말부터 3월말까지의 적자분에 대해 지난 4월 9일 손실보상금으로 35억원을 부산의료원에 지원하여 당장 발등의 불은 끌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중수본은 4~5월 손실보상금 지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금액에 대한 답변은 없고, 6월에 2차로 지급하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어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 경우, 3차례에 걸쳐 6개 의료원에 약 320억원의 지자체 예산을 투입하였고, 인천시는 138억원을 투입하여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재정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재영 복지환경위원장(더불어민주당, 사하구3)은 “이번에 제출된 부산시 제2회 추경예산안에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부산의료원의 적자손실분 보상액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도 부산시가 의료원의 수익구조 악화에 대한 특별한 대책을 밝히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하고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부산의료원이 정상 운영 될 때까지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 점과 올 가을 코로나19 2차 유행을 예견하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는 만큼, 시에서는 지금이라도 장기적인 대안 마련에 착수하여 의료원의 정상운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공공의료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할 예정이다.

 

한편 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는 부산의료원 재정구조 악화의 자세한 현황 파악과 현장 의료진 및 직원들의 격려와 애로사항 청취를 위해 오는 11일(월) 부산의료원을 현장 방문할 계획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